추미애 "뭐가 자랑스럽다고…과거 그리운 것 아니라면 당장 철거해야"
![](https://blog.kakaocdn.net/dn/56MhK/btsKjNCHOD1/Igm7yyebnmCfcMu601idHK/img.jpg)
1979년 11월 박정희 대통령 시해사건을 발표하는 전두환 당시 계엄사 합동수사 본부장. 연합뉴스
국군방첩사령부가 내란죄 등으로 처벌된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의 사진을 본부 내에 다시 게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0월 14일 방첩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방첩사는 군 보안·방첩·수사 부대의 역사 계승을 명목으로 과거 사령관(각각 20대‧21대)이었던 두 전직 대통령의 사진을 본청 복도에 걸었다.
![](https://blog.kakaocdn.net/dn/zVpW4/btsKjqgON7U/uKUkF02HkI8D7yjjuGImM1/img.png)
방첩사는 지난 2018년 전신인 기무사령부가 계엄령 검토 등 불법 정치개입과 세월호 유족 뒷조사 등 민간사찰 의혹의 여파로 안보지원사로 재편하면서 과거 청산에 나섰다.
이 과정에서 역대 지휘관 사진도 1대 사령관인 남영신 전 육군참모총장부터 게시했지만, 현 정부 출범 후 방첩사로 다시 재편하면서 2022년 11월 두 전직 대통령 사진을 포함한 역대 사령관 사진을 게시했다.
다만 박정희 전 대통령을 시해한 김재규 전 중앙정보부장은 마찬가지로 보안사령관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게시 대상에서 제외됐다.
국방부 부대관리 훈령 5장 2절 '국방부 장관 사진' 및 3절 '장성급 지휘관 및 기관장 사진' 관련 규정에 따르면, '부패 및 내란·외환죄 등으로 형이 확정된 지휘관' 사진의 게시는 금지하고 있다.
다만, 예우·홍보 목적이 아닌 재직기간 등 역사적 기록 보존 목적으로는 가능하다고 규정함으로써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의 사진을 게시할 수 있는 여지가 됐다.
그러나 김재규 전 중앙정보부장의 사진은 제외된 것은 '선택적 역사 보존'이라는 비판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https://blog.kakaocdn.net/dn/WLCcr/btsKkhJ5gz9/rdGNoB8xLhu9aykltnKat1/img.png)
추미애 의원은 "내란과 군사반란 죄로 대통령직까지 박탈당한 역사적 죄인 전두환·노태우 사진을 뭐가 자랑스럽다고 방첩사에 다시 게시했는지 묻고 싶다"면서
"방첩사는 1980년대 보안사 시절이 그리운 게 아니라면 당장 철거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