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2시간後 비' 알려준다…내년 장마부터 'AI예보 시대' 개막

반응형

AI 초단기 강수 예측 대국민 서비스…"강수 유무 정확도 90% 이상"

빅테크들 AI 예보 경쟁 중…한국도 뒤처지지 않지만 '자원'이 문제

(서귀포=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내년부터 국내에도 본격적인 '인공지능(AI) 일기예보' 시대가 열린다.

국립기상과학원 이혜숙 인공지능기상연구과장은 지난 20일 제주 서귀포시 과학원에서 열린 언론 설명회에서 "AI 초단기 강수 예측 결과를 내년 여름 방재 기간(5월 15일부터 10월 15일까지)부터 국민에게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과학원은 2019년부터 예보에 AI를 접목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초단기 강수 예측은 국민에게 공개되는 첫 성과물이다.

과학원 초단기 강수 예측 AI 모델은 2014·2016·2017·2018·2019·2021·2022년 등 7년 치 기상레이더 영상과 지상 관측자료를 학습했으며 오픈AI(OpenAI)의 챗GPT 등 생성형 AI 모델이 사용하는 '트랜스포머 기술'로 미래의 영상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예측을 제공한다.

트랜스포머는 생성형 AI 모델이 사용자가 입력한 문장의 문맥을 이해하고 이에 맞는 대답을 빠르게 내놓을 수 있게 하는 것으로, 현재 AI 시대를 열어젖힌 기술이다.

 

초단기 강수 예측 AI 모델은 6시간 후까지 10분 단위 예측을 제공한다.

다만 국민에 공개되는 범위는 '2시간 후까지 예측'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예정대로면 내년 여름부터는 누구나 기상청 홈페이지나 '날씨알리미'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해 비구름대가 2시간 후 어딜 지날지 알 수 있게 된다.

정확도의 경우 '비가 내리는지 안 내리는지'를 맞히는 강수정확도로는 90% 이상이고, '비가 왔을 때 이를 맞춘 비율'을 뜻하는 임계성공지수는 올해 5∼9월 1천771개 사례에 대해 선행시간별로 1시간은 0.5888, 3시간은 0.4649, 6시간은 0.3605다.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올해 2분기와 3분기 기상청 임계성공지수가 0.5와 0.34, 수치예보모델인 한국형지역예보모델(RDAPS-KIM)의 작년 5∼9월 임계성공지수(6시간 누적 강수에 대한 24시간 예측)가 0.49∼0.62였으니 절대 낮지 않다.

사실 기상예보 AI 모델 최대 장점으로는 정확도보다 예측하는 데 시간과 자원이 매우 적게 드는 점이 꼽힌다.

과학원 초단기 강수 예측 AI 모델의 경우도 6시간 후까지 10분 단위 예측을 생산할 때 걸리는 시간이 38∼42초에 불과하다.

원래 기상예보는 AI가 넘보기 어려운 영역으로 꼽혔으나 최근 수년 사이 빅테크들이 경쟁을 벌이면서 기상예보 AI 모델이 눈부시게 발전했다.

수치예보모델 중 정확도가 가장 높은 '유럽중기예보센터 통합예측모델'의 단일예측보다 더 정확히 예측한다고 평가되는 모델도 구글 딥마인드 '그래프캐스트'(GraphCast)와 화웨이 클라우드의 '판구-웨더'(Pangu-Weather) 등 이미 다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