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국제공항에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둔덕)인 ‘로컬라이저’가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를 키웠다는 지적이 제기돼 논란이다.
로컬라이저는 항공기가 착륙할 때 수평을 맞춰주는 계기착륙시스템으로 대개는 착륙 후 비행기가 지나면 부서지기 쉬운 구조물로 만들지만, 무안공항은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흙벽을 쌓아둬 오히려 피해를 키운게 아니냐는 지적이다.
12월 30일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활주로 인근의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이 전날 제주항공 여객기와의 충돌 여파로 파손돼 있다. 방위각 시설은 공항의 활주로 진입을 돕는 역할을 하는 일종의 안테나로, 흙으로 된 둔덕 상부에 있는 콘크리트 기초와 안테나가 서 있는 구조다. 연합뉴스
12월 30일 무안국제공항에 따르면
공항 측은 지난해 여객기의 착륙을 돕는 역할을 하는 안테나의 일종인 로컬라이저를 교체했다.
공항 측은 로컬라이저의 내구연한(15년)이 끝나 장비를 교체하면서 기초재를 보강했다고 설명했다.
로컬라이저가 설치된 구조물은 활주로 끝에서 300여m가량 떨어진 곳에 설치돼 있다.
이 구조물은 2m 높이로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흙더미로 덮여 있으며 로컬라이저까지 포함하면 4m 정도의 높이다.
활주로와 수평을 맞추다 보니, 2m 높이의 둔덕이 형성됐고 그 위에 로컬라이저를 설치한 것으로 보인다.
사고 당시 제주항공 여객기는 관제탑의 착륙 허가를 받고 동체 착륙을 시도했으나 활주로를 넘어 둔덕을 들이받고 폭발했다.
외국 항공 전문가와 전직 비행사들은 유튜브와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여객기가 구조물을 충돌해 인명 피해가 컸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항공 전문가인 데이비드 리어마운트(David Learmount)는 영국 스카이뉴스에 출연해 “승객들은 활주로 끝을 조금 벗어난 곳에 있던 견고한 구조물에 부딪혀 사망했는데, 원래라면 그런 단단한 구조물이 있으면 안 되는 위치였다”고 주장했다.
또다른 외국인 유튜버도 라이브 방송을 통해 “안테나 구조물이 너무 높게 설계됐다”고 주장했다.
12월 30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소방대원들이 전날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폭발 사고 잔해를 수색하고 있다.
무안국제공항 관계자는 “항공기의 착륙을 안전하게 유도하기 위한 로컬라이저는 내구연한이 도래해 규정대로 설치했다”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국토교통부도 이날 브리핑을 통해 “무안 공항은 활주로 종단 안전구역 외곽의 활주로 끝단에서 약 251m 거리에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이 설치돼 있다”며 “사고 원인이 됐는지 개연성을 열고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