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노후자금’ 국민연금, 1조원 날려… 홈플러스 사태

반응형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밟으면서, 국민들의 노후 자금인 국민연금이 1조원 넘는 대규모 손실 위험에 처했다.

파산 단계는 아니기 때문에 일부 돌려받을 가능성이 남아있지만, 100% 다 돌려받기엔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다.

 

 

3월 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사모펀드 운영사 MBK파트너스가 2015년 홈플러스를 인수할 때 국민연금은 상환전환우선주(RCPS)에 약 6000억원을 투자했다.

국민연금은 이번 사태와 관련 투자금 회수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실제 얼마나 거둬들일 지는 미지수다.

 

한 증권 관계자는 세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돌려받는다고 해도 시간이 걸릴 것이고 전체 다 돌려받기엔 현실적으로 쉽지 않을 것”으로 분석했다.

업계에서는 MBK가 국내 자본시장의 큰 손인 국민연금의 뒤통수를 친 게 아니냐는 의혹까지 제기된다.

 

RCPS로 조달한 금액은 모두 7000억원으로, 이 중 국민연금은 6000억원어치를 투자했다.

MBK 측이 계약한 복리 규정에 따라 이자가 붙으면서 RCPS 규모는 현재 1조1000억원으로 불어났다.

 

 

국민연금이 받지 못한 투자금이 1조원에 달하는 것이다.

 

홈플러스의 회생절차가 지난 4일 개시되면서 온전한 회수가 불가능한 투자금 규모는 3조2000억원에 이른다.

 

담보가 없는 기업어음(CP)과 전자단기사채 등에 투자한 개인투자자들도 손실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그러나 홈플러스를 인수한 MBK파트너스의 블라인드펀드는 다른 기업 투자 성공 등으로 손실을 보지 않고 투자금을 회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MBK파트너스 로고. MBK파트너스 제공

 

다만 홈플러스의 회생 개시 결정으로 MBK의 고려아연 인수 작업은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이 커졌다.

그간 영풍·MBK는 최윤범 회장 측과 고려아연 경영권 인수 경쟁을 벌여온 바 있다.

 

MBK 측은 홈플러스의 회생 신청이 고려아연 인수전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으나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처럼 미정산 사태가 터지기 전에 기업회생 절차를 밟아 정상화를 앞당겨야 한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