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눈썹 없어야 남자, 잘라버리자”… SNS에 위험한 유행

반응형

속눈썹을 다듬고 있는 남성들. 사진=틱톡 캡처

틱톡(TikTok)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남성들의 '속눈썹 다듬기' 영상이 유행하면서 전문가들이 경고에 나섰다.

4월 30일(현지 시각) 미국 CNN 방송·영국 더타임스 등에 따르면

최근 몇 주간 틱톡, 인스타그램 등 SNS에서는 남성들이 속눈썹을 짧게 자르는 영상이 인기를 끌고 있다.

튀르키예(터키)의 한 이발사가 올린 영상에는 이발사가 눈을 꼭 감고 있는 남성의 속눈썹을 가위로 자른다는 모습이 담겼다.

이런 영상은 유럽과 북미, 뉴질랜드 등에서 범람하고 있다.

젠더 연구자들은 이 같은 트렌드를 페미니즘에 대한 반동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길고 풍성한 속눈썹이 오랫동안 여성적 매력을 상징한다고 여겨져 온 만큼, 이를 철저하게 배척해 남성적 매력을 끌어올릴 수 있다고 보는 행위라는 것이다.

etc-image-0
 

CNN은 “오늘날의 정치적 분위기가 점점 남성화되는 가운데에서 일부 남성들 여성스러워 보일 수 있는 자신의 외모를 억누르려는 이유를 찾아볼 수 있다”고 풀이했다.

젠더 연구자인 메러디스 존스 영국 브루넬대 명예교수는

CNN에 “사회가 보수적이고 퇴행적으로 변해갈수록 두 성별을 더 다르게 보이도록 하는 압력이 커진다”며 “속눈썹은 강력한 이분법적 기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존스 교수는 미국의 대표적인 보수주의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J. D. 밴스 미국 부통령을 일례로 들며 “그(트럼프 대통령)는 명백히 화장을 하지만, 화장으로 더 그을리고 윤곽이 분명하고 더 남성적인 모습으로 만든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 역시도 '속눈썹 다듬기'가 유행한 진짜 이유인지는 알 수 없다.

유행이 시작된 튀르키예 영상에서는 남성 외모를 충실하게 관리하는 지역적 특성의 발현으로 그려졌기 때문이다.

한편, 안과 전문가들은 속눈썹을 다듬을 경우 눈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한다.

미국 안과의사 애슐리 헤이든 박사는 뉴욕포스트에 “날카로운 물건을 눈 가까이에 두는 것 만으로도 위험한 행위다. 게다가 속눈썹은 눈에 들어갈 수 있는 이물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잘라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etc-image-1

또한 안과 전문 비영리단체 올어바웃비전의 수석 의학 리뷰어 토마스 스토커만스 박사는 허프포스트에 “속눈썹이 빛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고 눈이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한다”면서

“컴퓨터와 디지털 기기를 많이 사용하는 현대인들에게 특히 중요하다. 속눈썹이 짧으면 눈이 더 빨리 건조해져 업무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