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GA 모자 쓰고 ‘과잉충성’… 일본 협상단 대표 ‘굴욕 외교’ 논란

반응형

 

지난 4월 16일(현지시간) 관세 협상을 하기 위해 미국 백악관을 찾은 일본 측 협상대표 아카자와 료세이(오른쪽) 경제재생상이 도널드 트럼프(왼쪽) 대통령이 사인한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모자를 쓰고 웃고 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면담 뒤 기자들에게 “격이 낮은 저와 이야기 해주셔서 정말 감사하다”고 말해 일본 내에서 ‘저자세 외교’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백악관 제공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의 관세 협상을 위해 지난 4월 16일(현지시간) 백악관을 찾은 아카자와 료세이 일본 경제재생상의 ‘저자세 외교’가 논란이다.

일본 내에서는 협상을 유리하게 끌고 가기 위해 트럼프 대통령의 비위를 맞추는 건 당연하다는 의견과 함께 굴욕 외교라는 지적이 엇갈린다.

백악관은 지난 4월 19일 뉴스레터를 통해 아카자와 경제상이 트럼프 대통령이 건넨 빨간색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모자를 쓰고 두 엄지손가락을 들어 올리고 있는 사진을 배포했다.

마가 모자는 미국에서는 사실상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충성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진다.

사진이 공개되자 일본 내에서는 동등한 관계여야 하는외교 무대에서 일본 대표가 ‘트럼프주의’를 상징하는 마가 모자를 쓴 채 기뻐하는 모습은 적절치 않다는 지적이 나왔다.

아카자와 경제상이 면담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격이 낮은 저와 이야기 해주셔서 정말 감사하다”고 자신을 낮춘 발언도 문제가 됐다.

일본 야당에서는 “격하는커녕 대등, 평등한 조약 관계, 양자 관계하에서 분명히 말했어야 했다”는 지적이 쏟아졌다.

다만 문제 될 게 없다는 주장도 있다.

각료 협의에서도 마가 모자를 쓰고 교섭했다면 문제겠지만 결정권을 가진 ‘톱’과 간격을 좁히기 위한 아카자와 경제상의 액션은 당연하다는 반응이다.

한편 일본 정부는 이르면 이달 중 열릴 미국과 2차 관세 협상을 앞두고 미국산 쌀 수입 확대, 자동차 검사 간소화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20일 보도했다.

다만 이시바 총리는 이날 NHK 방송에서 “미일 양 정부의 관세교섭에 있어 ‘식량 안보’는 양보할 수 없다”고 했다.

반응형